[ 혼공컴운 ] 3주차 공부 3: RAID의 정의와 종류
본문 바로가기

혼공 스터디/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 혼공컴운 ] 3주차 공부 3: RAID의 정의와 종류

728x90
반응형

RAID란?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어로

데이터의 안전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개의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여러 보조기억장치를 더욱 안전하고 빠르게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

 

 

라고 물어본다면 성능이나 안정성 면에서 1TB 하드 디스크가 압승한다.

그 이유를 알아보자.

 

 

RAID의 종류

RAID를 구성하는 방법은 여려가지가 있다.

그 구성 방법을 RAID 레벨이라 표현하는데,

대표적으로 RAID 0, RAID 1, RAID 2, RAID 3, RAID 4, RAID 5, RAID 6이 있고

그로부터 파생된 RAID 10, RAID 50 등이 있다.

(RAID 2, RAID 3은 잘 쓰이지 않음)

 

 

RAID 0

여러 개의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 저장하는 구성 방식

이런 상황에서 각 하드 디스크는 데이터를 번갈아가면서 저장한다.

아래와 같이

 

즉, 저장되는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개수만큼 나뉘어 저장된다.

 

이 때 마치 줄무늬처럼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라입이라 하고,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을 스트라이핑이라고 한다.

 

이처럼 데이터가 분산되어 저장되면,

다시말해 스트라이핑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빨라진다.

 

이론상 4TB 저장 장치 한 개를 읽고 쓰는 속도보다

RAID 0으로 구성된 1TB 저장 장치 네 개의 속도가 이론상 4배 가량 빠르다.

 

그러나 RAID 0으로 구성된 하드디스크 중 하나에만 문제가 생겨도 

모든 하드 디스크의 정보를 읽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RAID 1

 

RAID 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법

복사본을 만드는 방식과 같다.

마치 거울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드는 구성이기에 미러링이라고도 부름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원본과 복사본 두 군데에 쓴다.

따라서 속도는 RAID 0보다 느리지만

RAID 1 방식은 복구가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RAID 1은 하드 디스크 개수가 한정되었을 때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결국 많은 양의 하드 디스크가 필요하게 되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RAID 4

RAID 1처럼 완전한 복사본을 만드는 대신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 장치는 두는 구성 방식

이때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패리티 비트(parity bit)"라고 한다.

RAID 4에서는 패리티를 저장한 장치를 이용해 다른 장치들의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가 있다면 복구한다.

이로써 RAID 4는 RAID 1보다 적은 하드 디스크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

 

하지만 RAID 4에서는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때마다 패리티를 저장하는 디스크에도 데이터를 쓰게되어

패리티를 저장하는 장치에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음

 

 

RAID 5

위의 RAID 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패리티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RAID 6

구성은 기본적으로 RAID 5와 같으나,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패리티를 두는 방식이다.

따라서 RAID 4나 RAID 5보다 안전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러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때 마다 함께 저장할 패리티가 2개 이므로

쓰기 속도는 RAID 5보다 느리다.

따라서 RAID 6는 데이터 저장 속도를 조금 희생하더라도 데이터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식

 

 

Nested RAID

여러 RAID 레벨을 혼합한 방식을 뜻한

  • RAID 10 : RAID 0 + RAID 1
  • RAID 50 : RAID 0 + RAID 5
728x90
반응형